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새마을금고 사태 정리와 뱅크런 전조증상

by 나나정보르 2023. 7. 6.

안녕하세요. 오늘은 현재 논란 중인 새마을금고 사태에 대해서 다뤄 보려고 합니다.

왜 이런 사태가 생겼는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다루고 사태에 따른 뱅크런 전조증상에 대해서도 다뤄 보겠습니다.

새마을금고 로고 사진
새마을금고 로고

새마을금고 사태

이번에 새마을금고 논란은 바로 최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급등했기 때문인데요.

정말 간단하게 말해서 새마을금고가 받아야 할 돈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021년 말 1.93%였던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2022년 말 3.59%로 올랐고, 2023년 6월 중순에는 6.4%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는 저축은행 연체율보다도 더 높은 수치로 높은 연체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 전국 1294곳의 새마을금고 중 부실 위험이 높은 30곳에 대해서 5주간 특별 감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고 추가적으로 30곳 외에 연체율이 높은 70곳에 대해서도 별도로 특별 점검을 한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이미 몇달 전부터 연체율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어 왔는데요. 2달 만에 수신잔액 7조 원이 줄어들면서 이런 우려가 더욱 커지게 됩니다. 수신잔액이란 일반 사람들이 맡긴 예적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당연하게도 예금주 입장에서는 예적금을 하고 있는 은행이 부실해지고 있다고 생각이 되고 그동안 했던 예금이나 적금을 빼고 싶어지는 겁니다.

 

사태의 원인

간단하게 말하면 새마을금고에서 관리를 부실하게 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경기 둔화와 부실 대출이 가장 큰 원인인데요. 새마을금고는 빚더미에 앉은 사람에게도 대출이 나간다고 할 만큼 대출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또한 새마을금고는 금고별로 대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부 금고들이 방만한 대출을 해도 다른 지점에서 알기가 어렵습니다. 여기에 새마을금고는 일반은행과는 달리 금융당국이 아닌 행안부의 관리를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중 은행들은 한 달에 한번 연체율을 공개하지만 새마을금고는 반년에 한 번만 연체율을 공개하기 때문에 고객이 재정상태를 알기도 어려운 구조입니다.

이렇게 불안감이 지속되다 보니 새마을금고를 이용하던 이용자들은 예적금을 인출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다행히 새마을금고는 지역 금고 파산 시 중앙회가 예금자 보호 최대한도인 5천만 원까지는 원리금을 보장해 줍니다. 그 이상 돈을 맡기신 분들은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조치를 취하셔야 합니다. 

 

뱅크런 전조증상 및 현 상황

가장 최근 미국의 실리콘밸리 은행이 뱅크런으로 파산을 하게 되었는데요.

뱅크런이란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고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은행의 예금 지급 불능에 대해서 걱정을 하면서 대규모 인출을 감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새마을금고가 실리콘밸리 은행처럼 뱅크런을 겪을 가능성은 크지는 않지만 연체율이 높은 부실한 금고들의 통폐합은 불가피해 보이기는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금리에 경기침체에 들어섰다고 해도 무방한 이 시점에서 뱅크런 사태만은 꼭 막아야 하고 일단은 불안감을 잠재워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현 상황도 이에 딱 들어맞습니다.

새마을금고를 관리하는 행안부는 새마을금고 거래자가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예금자 보호를 하고 있다고 말을하며 부실한 금고들을 통폐합함으로써 새마을금고 전체적으로는 더욱 우량화 하겠다고 말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 유동성 비율을 100% 이상으로 관리하고 부동산 건설업종 대출한도 규제도 각각 30%, 50% 이내로 제한한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새마을금고 사태는 우리나라 금융권 전체에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면서 더욱더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이미 몇달 전부터 제기된 문제였지만 어느 정도 쉬쉬하면서 일부 지역에서의 문제라고 여겨졌던 것들이 결국은 큰 눈덩이가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런 불안감이 한번 조성되면 사람들은 자산에 대한 가장 안전한 조치가 은행 예금인데 그것조차 믿을 수 없게 되고 이는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새마을금고 사태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부분까지 다루어 보았습니다.

다음에 다른 내용들이 나오게 되면 추가적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